노인의욕구,노인문제,노인복지의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03:54본문
Download : 노인의욕구,노인문제,노인복지의관계.hwp
따라서 노인복지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개입해야 할 욕구는 기본적 욕구에 해당하면서 노인복지의 고유영역과 관련된 욕구여야 하며, 사회의 제한된 자원의 범위 내에서 수립된 사회적 대책으로 해결 또는 완화가 가능한 욕구여야 한다. 즉, 욕구는 사회생활에서 생존, 자립, 안념상태(well-being)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회, 조건과 대상의 결핍이나 부족상태로서, 인간의 만족스러운 삶을 저해하는 요인
이 될 수 있다아 개인이 이러한 욕구를 적절히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면 역기능, 혼란상태 또는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 개인 또는 가족의 노력으로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사회구성원의 수가 다수에 이르고, 이러한 상태의 improvement과 회복이 필요하다고 사회적으로 인정될 때 그 욕구는 사회적 욕구로 전환되고 사회적 개입의 대상이 된다
사회적 욕구는 사회구성원의 다수가 처해 있는 상황이 일정한 목표(goal)나 기준에서 괴리되어 있고 그 상태의 회복, improvement 등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욕구다. 사회적 욕구의 내용과 범위는 사회적 삶의 영위에 필요한 기본 욕구의 내용이나 범위와 밀접한 상관성을 지니고 있다 Harvey는 인간의 사회적 욕구를 음식, 주택, 의료, 교육, 사회 및 環境(환경), 소비재, 여가, 이웃분위기, 대중교통 등 아홉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아 또한 Moxley(1989)는 (1) 소득, (2) 주택, (3) 고용 · 직업, (4) 건강보호, (5) 정신건강, (6) 사회적 · 인간상호적 관계, (7) 여가선용과 휴양, (8) 일상생활의 활동, (9) 이동수단, (10) 법적 요구, (11) 교육과 관련된 욕구로 규정하고 있다아 그리고 Gates(1980)는 적절한 직업, 소득, 주거, 보건, 지식, 사회 참여, 개인의 자유 등을 사회적 욕구에 포함시키고 있다아
이와 같은 인간의 사회적 욕구는 연령이나 계층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이기 때문에 노인의 사회적 욕구도 위와 같은 사회적 욕구의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 (1) 사회적 가치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며, (2) 상당수의 사람들이 그 현상에 관련되어 고통, 손해 또는 부당한 처우를 당하고 있으며, (3) 상당수의 사람들이 문제라고 인식하거나 또는 일부 影響력 있는 사람이 문제로 인식하며, (4) 사회가 전반적으로 improvement을 원하고 있으며, (5) 문제의 improvement이 가능해야 하며, (6) 근본적 原因이 사회적 요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7) 집단적 또는 사회적 차원의 노력으로 해결될 수 있어야만 사회문제로 간주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문제는…(투비컨티뉴드 )
노인의욕구,노인문제,노인복지의관계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노인의욕구,노인문제,노인복지의관계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노인의욕구,노인문제,노인복지의관계
Download : 노인의욕구,노인문제,노인복지의관계.hwp( 69 )
다. 이러한 인간의 공통적인 사회적 욕구와 노년기의 특성(特性)을 고려하여 노인들의 사회적 욕구를 종합해 보면 (1) 소득 및 경제적 안definition 욕구, (2) 고용 및 경제활동기회에 대한 욕구, (3) 안정된 주거環境(환경)에 대한 욕구, (4) 신체 빛 정신건강의 유지, 자립적 일상생활, 치료와 요양 등 건강에 대한 욕구, (5) 여가 및 文化(culture) 활동에 대한 욕구, (6) 사회적 관계의 유지와 사회 참여에 대한 욕구, (7) 지식, 교육 및 훈련기회에 대한 욕구, (8) discrimination, 학대 등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권익보호에 대한 욕구, (9) 우울 등의 정신적 문제의 예방,
죽음에 대한 대처 등과 같은 정서안정 욕구가 대표적인 노인의 욕구라고 할 수 있다아
국가에서는 소득보장, 건강보장, 주거보장, 사회적 서비스 등의 노인복지대책을 수립하여 이러한 노인들의 충족되지 않은 욕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게 된다 그러나 노인의 모든 사회적 욕구가 노인복지의 개입 대상이 될 수는 없다. 그리고 제한된 사회자원으로 모든 욕구를 동일한 비중으로 다를 수 없기 때문에 욕구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원조나 서비스의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여 그 기준 이내에 속한 사람의 사회적 욕구를 우선적으로 충족시키게 된다
2.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인간이 경험하는 문제란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를 유발하는 불만족스러운 상태 또는 조건`이라고 규정된다 따라서 인간의 문제는 욕구의 충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생활과정에서 다양한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삶에 불편을 초래하게 될 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노인문제는 `노인의 기본적 생존과 욕구를 본인이나 가족의 노력으로 해결 · 충족시키지 못하여 삶의 불만족스러운 상태가 지속되는 현상`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아
이러한 인간문제가 모두 사회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닐것이다.노인의욕구,노인문제,노인복지의관계노인의욕구,노인문제,노인복지의관계 , 노인의욕구,노인문제,노인복지의관계인문사회레포트 ,
노인의 욕구, 노인문제, 노인복지의 관계
노인의 욕구, 노인문제 그리고 노인복지의 관계
사회복지가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한 사회의 구조적 대응대안 중의 하나라고 한다면 사회복지의 한 분야인
노인복지는 노인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노인문제를 예방, 해결하기 위한 공공과 민간부문의 조직적 활동이라고 간략히 규정할 수 있다아
따라서 효율적인 노인복지실천이나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노인이 지니고 있는 욕구나 문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노인복지의 대상이자 주체인 노인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1. 노인의 욕구와 노인복지
욕구(need)는 개인이 도달하고자 하는 상태()와 현재 상태(A) 사이의 괴리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