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女의 구술 생애사를 통해 살펴 본 제주의 文化(cultur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7 22:01
본문
Download : 海女의 구술 생애사를 통해 살펴 본 제주의 문화.hwp
Ⅱ. 본문
1. 질문지 구성
1) 출생과 가족
·이름, 나이, 본관, 태어난 마을과 현주소, 가족의 구성
·부모 : 출생지, 직업, 재산, 부모에 대한 기억들, 남기신 유산
2) 성장 과정과 교육
·우리집 분위기와 성장한 마을의 분위기
·가족의 종교와 자신의 종교생활
·어렸을 때의 꿈은
·학교에는 언제 처음 갔는가
·어느 단계까지 교육 받았는가
3) 사랑과 혼인
·결혼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결혼생활에 있어서 기억
·당신의 생애에서 아이는 무엇인가
·자식들에게 어떤 가치를, 어떤 …(skip)
海女의 구술 생애사를 통해 살펴 본 제주의 文化(culture)
海女의 구술 생애사를 통해 살펴 본 제주의 文化(culture) 에 관련된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海女의 구술 생애사를 통해 살펴 본 제주의 문화.hwp( 35 )
다. 특히 `해녀(海女) 바다속 전복이나 소라 등 어패류를 채취하는 여성들
`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잠수(潛嫂)는 근면하고 강인한 제주 여성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으로 인식된다 이와 동시에 잠수로 대표되는 제주 여성에 관한 이야기는 제주섬 전체의 정체성과 그 history(역사) 를 동시에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과거에는 사회적으로도 천대받던 잠수들이 그들이 근면하고 강인한 생활상을 중심으로 하여, 오늘날은 제주 여성의 전형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 잠수들은 물질, 밭일, 가사일 등의 거의 전담해야 하는 의무와 책임에 눌려야 하는 상황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강한 여성의 이미지 뒤편에 존재하는 `고생하는 여성`, `희생하는 여성`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제주 잠수로 대표되는 여성들은 물질, 밭일, 가사일 등 현실적으로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지만, 동시에 엄청난 저력을 가진 불굴의 정신적 소유자로 규정되고 있는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report 입니다.
해녀1
海女의 구술 생애사를 통해 살펴 본 제주의 문화에 관련된레포트 입니다.
이에 우리는 제주도 서귀포시 강정동 고화선할머니(83)의 구술 생애사를 통해 제주도의 culture에서 해녀의 위치를 이해하고, 해녀의 삶을 통한 제주도를 이해하기 위해 해녀의 생애사를 구술자료(data)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해녀1 , 海女의 구술 생애사를 통해 살펴 본 제주의 문화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Ⅰ. 들어가며
Ⅱ. 본문
1. 질문지 구성
2. 구술 생애사 정리(arrangement)
Ⅰ. 들어가며
제주도는 일찍부터 돌, 바람, 여자가 많은 `三多의 섬`으로 알려져 왔다. 이는 제주 여성이 돌, 바람과 함께 제주도를 다른 지역과 구별시키는 특수한 존재로 여겨져 왔음을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