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에 대한 저주와 문화적 투쟁으로의 전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2 11:56
본문
Download : 권력에 대한 저주와 문화적 투쟁으로의 전환.hwp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아나키즘의 개인 속에는 이미 사회가 내재되어 있따 따라서 아나…(To be continued )
3) 자유주의적 개인관 비판구승회는 `자유 자본주의`라는 개념을 사용하면서 아나키즘의 사회원리를 `다원주의`라고 부르려 한다(구승회, 199... , 권력에 대한 저주와 문화적 투쟁으로의 전환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권력에 대한 저주와 문화적 투쟁으로의 전환.hwp( 99 )
3) 자유주의적 개인관 비판
권력에 대한 저주와 문화적 투쟁으로의 전환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러나 다양성과 다원주의는 다른 정이 이기 때문에 아나키즘의 논리는 다원주의의 논리와 완전히 다르다. 따라서 각 단체의 대표들은 의회 민주주의에서와 같은 대표가 아니라 대리인이다(김경일, 2001, 14).
또한 방영준은 자주인적 개인을 강조하는 아나키즘의 정이관이 아이러니컬하게도 자본주의의 비판에서 자본주의의 모태인 고전적 자유주의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을 지적한다(방영준, 1996, 64∼65). 하지만 이것 역시 잘못된 주장이다. 사적인 영역으로 축소되어가는 개인은 인간의 본질적인 속성 , 즉 공동체에의 적극적 참여를 통한 자아의 실현이라는 속성 을 상실한다. 상호주의에 입각한 사회에서 市民은 단순한 유권자가 아니라,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라 자유롭게 직업조직, 이익조직 혹은 그 외의 단체들을 결성하고, 그 속에서 자신들의 이해와 견해를 표출한다.
구승회는 `자유 자본주의`라는 개념을 사용하면서 아나키즘의 사회원리를 `다원주의`라고 부르려 한다(구승회, 199...
설명
3) 자유주의적 개인관 비판
구승회는 `자유 자본주의`라는 정이 을 사용하면서 아나키즘의 사회원리를 `다원주의`라고 부르려 한다(구승회, 1996, 179). 하지만 다원주의는 서구의 개인주의에 기반해 있따 다원주의는 제한된 자원과 전culture된 이익에 의한 권리침해를 막기 위해 관료의 선출과 민주적 절차를 내세운다.
아나키즘은 근대의 개인주의 사상을 거부한다.